출장용접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이 통화 중 정보 검색 등을 지원하는 ‘익시오 AI 비서’를 공개했다.
LG유플러스는 13일 서울 종로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구글 클라우드와 공동 개발한 ‘익시오 AI 비서’를 선보이며 “고객 맞춤형 AI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익시오는 LG유플러스가 지난해 11월 출시한 통화 보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통화 녹음·요약, 대신 받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번에 공개된 ‘익시오 AI 비서’는 ‘통화 비서’로서의 기능을 한 단계 확장했다.
이날 공개된 익시오 AI 비서는 통화 중 대화 맥락을 이해하고 필요한 정보를 즉시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예를 들어 친구와 통화하며 주말 일정을 논의할 때 “헤이 익시, 이번 주말 날씨 어때?”라고 물으면, AI가 검색을 통해 관련 정보를 찾아 음성으로 안내한다. 사용자는 통화 연결 상태에서 바로 AI를 호출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는 음성과 텍스트 형태로 제공돼 통화 상대에게도 즉시 공유할 수 있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통화 중 검색을 하거나 다른 앱을 여는 이용자는 하루 평균 135만명에 달한다. 회사 측은 익시오 AI 비서가 이러한 이용 행태를 반영해 통화 중 정보 검색과 공유의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익시오 AI 비서는 구글의 ‘제미나이 2.5 플래시 라이브’를 기반으로 구현됐다. 이상엽 LG유플러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기존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하면 AI 호출부터 정보 제공까지 최소 8초 이상 걸렸지만, ‘보이스 투 보이스’ 모델을 세계 최초 수준으로 적용해 이를 약 3초로 단축했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도 강화했다고 밝혔다. 온디바이스 기반 음성 인식 기술을 적용해 익시오 호출 전 통화 내용은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호출 이후의 발화 내용만 AI 검색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익시오 AI 비서는 올해 말까지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베타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며, 이용자 의견을 반영해 기능을 고도화한 뒤 내년 상반기 모든 익시오 이용 고객에게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향후 구글과 협력해 통화 중 언급된 예약 등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할 계획이다.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이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에 다음달 225억 달러(약 33조원)를 추가 투자할 계획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추가 투자는 오픈AI가 지난달 기업구조 개편 방안을 확정함에 따라 정해졌다. 소프트뱅크는 인공지능(AI)을 차기 성장 분야로 보고 지난해 9월부터 오픈AI에 여러 차례 투자해 왔다.
고토 요시미쓰 소프트뱅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전날 중간결산 설명회에서 “우리는 오픈AI에 강한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내달 투자까지 합하면 소프트뱅크의 오픈AI 투자 총액은 347억 달러(약 50조8000억원)에 이르게 된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MS)가 투자한 금액을 웃도는 숫자로, 소프트뱅크는 오픈AI 지분 11%를 갖게 된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오픈AI 기업 가치를 5000억 달러(약 733조원)로 추산할 경우 소프트뱅크 지분은 8조엔(약 76조원)을 초과한다.
오픈AI 입장에서도 소프트뱅크는 든든한 뒷배다.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정비를 위한 투자가 필수인 가운데 거액의 자금 부담을 맡아줄 수 있는 기업이어서다.
소프트뱅크는 이와 더불어 미국에서 오픈AI, 오라클과 함께 대규모 AI 기반 시설 구축을 위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AI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반도체 관련 기업 인수, 자체 전력 공급 체제 확보에도 매진 중이다.
닛케이는 “소프트뱅크 구상이 장밋빛으로 보이지만, 파트너로 선택한 오픈AI가 (AI 분야에서) 선구자로 계속 남아 있을 것이란 보장은 없다”면서 “AI 관련 사업에서 수익 확보 방안을 찾은 기업은 현재 없어서 주식시장에서는 투자비 회수에 회의적 견해도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