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이혼변호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9일(현지시간) 메릴랜드 페덱스필드에서 미국프로풋볼(NFL) 워싱턴 커맨더스와 디트로이트 라이언스의 경기를 봤다. 미 현직 대통령이 NFL 정규시즌 경기를 현장 관람한 것은 1970년대 후반 지미 카터 전 대통령 이후 처음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30년 완공 예정인 커맨더스의 새 홈구장에 자신의 이름을 붙이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상태다. 이날 그의 이례적인 경기 관람은 그가 ‘트럼프 경기장’에 매우 진심이란 사실을 보여준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럼프 타워, 트럼프 호텔, 트럼프 골프장 등 모든 상품에 자신의 이름을 붙였던 브랜딩 전략을 대통령이 되고 난 후에도 똑같이 활용하고 있다. 그는 최근 할인된 가격으로 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의약품 직영 플랫폼을 출범시키면서 ‘트럼프RX’라는 이름을 붙였다. 또 100만달러(약 14억원)를 미국 정부에 기부하면 영주권을 발급해주겠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얼굴이 새겨진 금빛 영주권 카드를 ‘트럼프 골드 카드’라고 홍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보잉이 제작 중인 차세대 전투기에도 47대 대통령인 자신을 기리기 위해 F-47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로 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또 미 재무부는 지난 10월 트럼프 대통령의 얼굴을 넣은 1달러 기념주화를 제작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현직 대통령의 초상을 주화에 표시하는 것은 위법이라 이 계획이 실현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공사 중인 백악관 연회장에도 자신의 이름을 붙일 계획이다. 앞서 그는 케네디센터와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의 이름도 ‘트럼프 센터’ ‘트럼프 국제공항’으로 바꾸려고 시도한 바 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CNN에 “트럼프 대통령은 최고의 브랜드·마케팅 전문가”라면서 “그 모든 재밌는 이름들은 대통령의 아이디어였으며, 그에게는 이를 실행에 옮기고자 하는 의지가 강한 팀이 있다”고 말했다.
마케팅 전문가 카밀 무어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을 반복함으로써 각인시키는 것은 탁월한 브랜딩 전략이라면서 “트럼프는 정치인이라기보다는 나이키나 애플에 더 가까운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미 연방 정부는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 아니라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된다. 비영리단체 ‘책임과윤리를위한시민’의 노아 북바인더 대표는 “트럼프 브랜딩이 법률을 직접적으로 위반한 것은 아니지만 이 모든 것이 합쳐지면 특정 지도자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정부가 동원되는 위험한 결과가 초래된다”고 CNN에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였던 2019년 미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의 생가인 ‘마운트 버넌’을 방문했을 때 “왜 초대 대통령이 자신의 저택에 ‘워싱턴’이란 이름을 붙이지 않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면서 “그가 똑똑했다면 이름을 붙였을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이어 “모든 것엔 자신의 이름을 붙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도 당신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MSNBC는 “그때로부터 6년이 지난 지금, 당시 트럼프의 말이 농담이 아니었단 사실을 절감하게 된다”면서 “트럼프는 많은 사람으로부터 존경받은 조지 워싱턴이 굳이 자신의 이름을 붙일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단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는 듯하다”고 지적했다.
12일 오전 6시 3분쯤 강원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토교저수지 인근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2시간 40여 분 만에 진화됐다.
산림·소방 당국 등은 헬기 4대와 진화차 등 장비 5대, 20여 명의 인력을 투입해 이날 오전 8시 44분쯤 불길을 모두 잡았다.
불이 난 곳은 지뢰 매설 지역으로 추정된다.
사실상 육상 진화가 어려운 셈이다.
이에 따라 산림·소방 당국은 산불 발생 지점 주변의 안개가 걷힌 이날 오전 8시 20분부터 헬기를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였다.
강원도 관계자는 “잔불 정리작업을 모두 끝낸 후 정확한 피해 규모와 화재 원인을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