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2025~2026 여자프로농구(WKBL)의 화두는 단연 박지수(27·청주 KB)의 복귀다.
데뷔 시즌 신인왕에 이어 정규리그 MVP를 4번 수상한 박지수는 지난 시즌을 유럽 튀르키예 리그 갈라타라사이 SK에서 뛰었다. 1년 만에 친정팀 KB 유니폼을 다시 입었다.
박지수는 WKBL이 개막을 앞두고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MVP 후보 1위에 올랐다.
팬 투표 28.2%, 선수 투표 40.8%, 미디어 투표 61.2%의 선택을 받았다. 지난 시즌 플레이오프(PO)에서 아산 우리은행에 패배한 KB는 박지수의 복귀와 함께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책임감이 막중하다. 13일 천안 KB국민은행연수원에서 만난 박지수는 “기대치를 어떻게 충족할 수 있을지 고민이 된다”면서도 “제가 없는 사이 KB는 인사이드뿐 아니라 외곽에서의 유기적인 움직임이 좋아졌다. 그 플레이에 잘 녹아들고 싶다”고 말했다. 박지수가 빠진 KB는 지난 시즌 힘든 시기를 보냈다. 평균 득점이 59.3점으로 5위, 리바운드는 36.6개로 꼴찌였다. 평균 72.7득점, 45리바운드로 압도적 1위를 기록한 2023~2024시즌보다 힘이 빠진 모습이었다.
리그 에이스 대결 구도도 단조로워졌다. 김단비(아산 우리은행)와 김소니아(부산 BNK)가 라운드 MVP를 각각 4번, 2번 나눠 가졌다.
박지수의 합류로 새 시즌 리그에는 역동성이 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박지수는 “저로 인해 KB의 득점도 올라가고, 우리를 이기려는 상대팀의 득점도 올라가서 6개 구단의 평균 득점이 다 조금씩 올라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지수는 해외 리그에서 뛰며 농구에 대한 시야를 넓혀왔다. 앞서 2018년부터 2022년까지는 미국 WNBA 활동도 병행했다.
박지수는 “유럽 각 팀과 컵대회도 하고 튀르키예 리그 경기도 많다 보니 초반에는 일정을 소화하는 게 힘들었다”며 “처음에는 정신없이 따라가서 농구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스포츠는 자신감이라고 생각하는데, 외국 선수들과 부딪쳐보면서 국제무대에서 ‘나도 해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며 “동료들이 물으면 ‘무조건 한 번쯤 경험해보는 게 도움 된다’고 답한다. 외국에 나가보면 자신의 실력에서 ‘벽’을 느껴볼 수 있다. 그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B는 이제 ‘박지수 원맨 팀’이 아니다. 베테랑 슈터 강이슬과 전천후 포인트 가드 허예은, 센터 유망주 송윤하까지 있다.
박지수가 버티고 있는 골 밑은 물론이고 외곽과 백코트까지 단단해졌다. 박지수는 특히 ‘국보 센터’의 계보를 이을 송윤하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박지수는 “송윤하를 보면서 ‘정말 복덩이가 들어왔구나’라는 생각을 했다”며 “제가 나갔을 때 빈자리를 송윤하가 잘 채워줬다. 출전시간 때문에 경쟁 상대가 될 순 있겠지만 서로 좋은 시너지를 낼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박지수는 스스로 ‘걱정을 미리 하는 스타일’이라고 했다. 부상을 이겨내야 하고, 주장으로서 팀을 이끌어야 한다. 모두가 인정하는 에이스이지만 언제나 ‘그 이후’를 고민한다.
박지수는 먼 훗날 자신의 모습을 그려보며 김단비를 떠올렸다. 그는 “단비 언니처럼 나이가 들어도 최정상을 지킬 수 있는 선수가 되고 싶다”며 “에이징 커브를 겪지 않고 가장 높은 곳에서 은퇴하고 싶다”고 말했다.
엘브리지 콜비 미국 국방부 정책차관이 14일(현지시간) 한국이 국방비 지출을 국내총생산(GDP)의 3.5%로 증액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한국은 정말로 모범적인 동맹국(model ally)”이라고 말했다.
콜비 차관은 이날 미국 워싱턴 DC의 앤드루 W. 멜론 강당에서 열린 한국 국경일 및 국군의날 리셉션 축사에서 “한국은 이제 미국의 조약 동맹국 중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외 국가로서는 최초로 트럼프 대통령이 헤이그 나토 정상회의에서 제시한 ‘국방비 3.5%’ 기준을 충족하겠다고 약속한 나라”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미는 한국시간 14일 발표한 정상회담 조인트 팩트시트(공동설명자료)에서 한국의 국방비를 GDP의 3.5%로 증액한다는 계획을 명기했다. 미국 국방부 장관과 부장관에 이어 국방부 ‘넘버3’인 콜비 차관은 “이 자리가 사실상 저의 첫 공개석상 발언일 것”이라고도 말했다. 콜비 차관은 대외 행보를 자제해왔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측근이자 안보정책통인 콜비 차관은 “이재명 대통령과 한국이 노력과 재정(투입), 진지함, 헌신을 행동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콜비 차관은 한·미 동맹에 대해 “이 동맹은 미래 지향적인 동맹”이라며 “트럼프 행정부와 피트 헤그세스 장관 체제의 국방부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취임 뒤 첫 리셉션 행사를 개최한 강경화 주미대사는 인사말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 동맹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며 “이 동맹은 한국의 군사·경제·기술적 역량이 성장하고 있다는 현실을 반영한 동맹”이라고 말했다. 강 대사는 이날 한복을 입고 외빈들을 맞이했다.
이날 행사에는 마이클 디솜브리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동아태) 차관보, 존 노 국방부 동아시아 부차관보, 제임스 워킨쇼 연방 하원의원(민주·버지니아), 라이언 징크 하원의원(공화·몬태나) 등도 참석했다.
수요일인 12일 전국이 대체로 맑겠다. 제주도는 대체로 흐리겠다.
아침에는 중부내륙·산지와 남부지방 높은 산지 주변에서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곳이 있겠다.
낮 기온은 15∼20도로 예보됐다. 이날을 포함해 당분간 낮과 밤의 기온차가 15도 안팎으로 크게 벌어질 것으로 예보됐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기온은 서울 6.3도, 인천 7.5도, 수원 3.7도, 춘천 0.6도, 강릉 7.2도, 청주 4.8도, 대전 3.4도, 전주 3.5도, 광주 6.0도, 제주 13.9도, 대구 3.0도, 부산 11.7도, 울산 8.0도, 창원 7.5도 등이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남해 앞바다에서 0.5∼1.0m, 서해 앞바다에서 0.5m 내외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에서 약 200㎞ 내의 먼바다)의 파고는 동해·서해 0.5∼2.0m, 남해 0.5∼2.5m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