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트립구입 ■이순희씨 별세, 추일한 조선대 의과대학 교수·진아 고려대 간호대학 교수·현아 KIST 책임연구원 모친상, 고광후 전 신세계 부사장·정유훈 건국대 융합생명공학과 교수 장모상, 박수아씨(정신과 전문의) 시모상, 추현경 핀란드 VTT 연구원 조모상, 고희정씨(판사)·정지웅씨(영화제작 프리랜서) 외조모상=12일 오전 5시50분 광주 조선대병원. 발인 17일 오후 12시30분 (062)220-3352
■강기세 전 범건축회장 별세, 준호 서울대 사범대학장 부친상=11일 오후 6시 삼성서울병원. 발인 14일 오전 10시 (02)3410-3151
■안택준씨 별세, 재현 SK케미칼 사장·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혜련·혜경씨 부친상, 윤홍균씨·이두원 연세대 언더우드국제대학 학장 장인상, 김연진·이수정씨 시부상=12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4일 9시30분 (02)2258-5940
■장명준씨 별세, 안현후 대보건설 상무·재호 세종안전컨설팅 기술이사·선희씨 모친상, 김현섭씨·강효경 울산시청 시의학안전과 사무관 시모상=12일 0시40분 울산 굿모닝장례식장. 발인 14일 오전 8시30분 (052)256-7444
■오병조씨 별세, 박화선 경기일보 사회부 부장 모친상=11일 오후 천안 단국대병원. 발인 14일 오전 8시30분 (041)550-7474
■박동식씨 별세, 상현 전 노원경찰서 과장·준현 삼표그룹 법무실장·미현·혜현씨 부친상, 백수하 메가존클라우드 부사장 장인상=12일 오전 9시 서울대병원. 발인 14일 오전 8시 (02)2072-2010
■채연숙씨 별세, 김달 전 전자신문 ETRC 기자·중석·민정·희정씨 모친상, 염영래씨 시모상=12일 오전 4시 광주광역시 천지장례식장. 발인 14일 오전 8시 (062)527-1000
■최석순씨 별세, 이현극 SM솔루션 대표·정씨·영미 NBK제약 부회장 모친상, 박갑철 아시아체육기자연맹 명예회장 장모상=12일 0시5분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14일 오전 8시 (02)2227-7500
■노대영씨 별세, 창환 한국전력공사 차장·주환 스포츠조선 부국장 부친상=12일 구미장례식장 해원. 발인 14일 오전 7시 (054)443-5445
■조성숙씨 별세, 김한균씨·형균 부산테크노파크 원장·정균·창균 씨 모친상=11일 부산 시민장례식장. 발인 14일 오전 7시 (051)636-4444
■박미예씨 별세, 장병영 산림청 대변인실 사무관 모친상=11일 강원 원주 연세대 원주장례식장. 발인 13일 오전 7시 (033)744-3970
■정기숙씨 별세, 지선영 삼성증권 영업지점장·진영·진선씨 모친상, 박준상 현대차 책임연구원 장모상=12일 오전 0시53분 수원시 연화장 장례식장. 발인 14일 (031)218-6560
미국 조지아주에서 한국 기업의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이민 단속 과정에서 구금됐다가 석방된 한국인 노동자들이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을 상대로 소송을 준비 중이라고 미국 ABC 방송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ABC는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세우러 온 한국인 노동자들에게 족쇄가 채워졌다. 한국인들은 그 이유를 알고 싶어 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지난 9월 단속 당시 구금된 노동자들 가운데 약 200명이 ICE의 불법 행위에 대한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 노동자는 “ICE의 불법적인 경찰권 남용, 인종 프로파일링, 인권침해, 과도한 물리력 행사, 불법 체포” 등을 문제 삼을 예정이다. 구금됐다 귀국한 김모 씨는 ABC 인터뷰에서 “우리는 아직도 납득할 만한 설명이나 사과를 받지 못했다”며 “잘못된 사실을 바로잡고 싶다. 이제는 여행으로도 미국에 가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김씨는 단기 상용 목적의 B1 비자로 입국해 조지아주 서배너 지역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현장에서 일하고 있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내세운 미국 제조업 부흥에 기여하고 있다고 믿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9월 4일 오전 ICE가 갑작스럽게 현장에 들이닥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김씨는 “총기로 무장한 경찰과 헬리콥터가 출동했고, 체포영장이 뭔지도 모르는 노동자들이 속수무책으로 연행됐다”며 “영화의 한 장면 같았다”고 회상했다.
단속 당시 ICE는 노동자들의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손과 발, 가슴에 수갑과 족쇄를 채운 채 구금했다. 김씨는 “아무 설명도 없이 붙잡혔고 이유도 모른 채 일주일을 감옥에서 보냈다”며 “족쇄가 채워진 채 넘어지는 사람도 있었다”고 말했다.
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은 이민국 구금시설로 옮겨져 60명씩 나뉘어 수용됐다. 그는 “감방은 춥고 불결했으며 곰팡이 핀 침대와 냄새나는 물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또 일부 경비원들이 “김정은 이야기를 하며 동양인을 조롱하고 눈을 찢는 제스처로 모욕했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일주일 만에 석방돼 귀국했지만 “왜 ICE가 우리를 체포했고 왜 일주일이나 붙잡아 두었는지 아직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아비게일 잭슨 백악관 대변인은 ABC에 “모든 외국인 노동자는 합법적 노동 허가를 받아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비즈니스하기 좋은 나라로 만들고 있지만 연방 이민법 또한 엄격히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 측은 “해당 공장은 2026년 상반기 완공 예정이며 모든 법과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는 입장을 ABC에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