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사무소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13일 “우리가 황교안이다. 뭉쳐서 싸우자”고 발언한 취지와 관련해 “어렵고 힘들 때 돕지 않으면 나중에 우리가 도움이 필요할 땐 누가 도와주겠느냐”는 뜻으로 소속 의원들에게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부정선거 음모론자로 12·3 불법계엄을 옹호하는 행보를 보인 황교안 전 국무총리를 도와야 한다며 당의 극우 편승을 정당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장 대표는 또 “우리 당의 정치지도자였던 분이 검찰의 무도한 수사 때문에 체포되는 상황에 대해 한마디 해야 하는 게 마땅하다”며 “방송에 나가서 비판하지 말고 기다려 달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복수의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장 대표는 이날 국회 본관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자신이 전날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규탄대회에서 “우리가 황교안이다. 뭉쳐서 싸우자”고 말한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장 대표는 이에 대해 “직접 원고를 써서 토씨 하나까지도 외워서 연설하고, 충분히 생각하고 숙고해서 한 발언이니, 우발적으로 나온 발언이라거나 실수였다는 식의 평가는 하지 말아 달라”며 “시차를 두고 (긍정적인) 효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장 대표는 또 “부정선거론을 옹호하거나 감싸는 게 아니고 특검의 무도한 수사에 보수 쪽 인사들이 희생양이 되고 있다는 것”이라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고 복수의 의원이 전했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장 대표가 “저희가 그분들하고 완전히 단절해버리면 싸워야 될 이슈가 있을 때 제대로 힘을 모으기 힘들지 않으냐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다.
장 대표 발언에 대해 당내에선 파장이 일었다. 국민의힘 관계자에 따르면 인증된 당원들만 이용할 수 있는 국민의힘 홈페이지의 ‘당원Talk’ 게시판에 “우리가 왜 황교안이냐” “윤 어게인 부정선거당이라고 자인하냐” “민주당 쑥대밭 만들 절호의 찬스에 구정물 뿌렸다” 등의 글이 전날부터 올라왔다.
한 당원은 “아스팔트 부정선거 황교안 세력들 데리고 지금 제1야당이 정치를 하겠다는 건가”라며 “국민 어느 누가 우리에게 표를 주나. 보수 지지층마저도 수긍이 안 되는데”라고 적었다고 한다. 다른 당원의 글에는 “대장동 이슈로 좋은 기회가 왔는데 장동혁은 웬 뚱딴지같은 헛소리를 하나”라며 “확장성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자가 강성 지지층들한테만 어필하고 있으니 당 지지율이 저 모양 아닌가”라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친한동훈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공개 비판도 나왔다. 정성국 의원은 이날 채널A 인터뷰에서 “조금 놀랐다”며 “윤 어게인이라든지 부정선거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중도가 저희에게 마음을 주지 않고 어찌 보면 합리적 보수도 돌아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신지호 전 의원은 페이스북에 “윤 어게인도 부족해 황 어게인인가”라고 적었다. 김종혁 전 최고위원도 페이스북에서 “이러다 당대표가 ‘우리가 전광훈’ ‘우리가 전한길도 외칠 것 같아 걱정된다”고 했다.
지난 13일 오후 1시39분쯤 충남 아산시 도고면의 한 마늘밭에서 60대 A씨가 몰던 트랙터가 작업 도중 전도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트랙터 아래에 깔린 A씨가 숨졌다.
경찰은 A씨가 밭 두둑을 쌓는 과정에서 트랙터가 중심을 잃고 넘어졌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6일째인 11일 현장에서 60대 매몰자의 시신이 추가로 수습됐다.
소방 당국은 이날 오후 10시14분쯤 붕괴된 보일러 타워 5호기 잔해 속에서 매몰된 60대 남성 시신을 수습했다.
사고가 난 5호기 양옆에 있어 추가 붕괴 위험으로 작용하던 4호기와 6호기를 발파한 후 인력을 투입해 수색 작업을 재개한 지 6시간30여분 만이다.
소방 당국은 발파 후 수색·구조 전문가로 구성된 8개 팀, 70여명과 민간 해체전문가 등을 투입해 수색·구조 활동을 펼쳤다.
사고 직후 매몰된 7명 중 3명의 시신은 수습했으나, 나머지 4명(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은 매몰된 상태로 있었다. 이들 중 사망 추정 2명은 각각 잔해물 입구 3∼4m와 4∼5m 지점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습된 매몰자는 5호기 잔해물 중 6호기 방향 입구에서 3∼4m 지점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매몰자 시신이 추가로 수습되면서 지난 6일 발생한 붕괴 사고로 인한 매몰자 7명 중 사망자는 4명으로 늘어났다. 아직 3명이 현장에 매몰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