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조내구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10·15 대책 이후) 주택 가격 급등세가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라며 “관계부처 간 논의를 거쳐 구체적 공급계획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주택공급촉진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주택공급촉진 방안 등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기재부와 국토교통부 등 16개 부처가 참석했다.
구 부총리는 “10·15 대책 이후 서울·수도권 주택가격 급등세가 다소 진정되고 있다”면서도 “정부는 긴장의 끈을 놓지않고 시장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지난 10월 1~2주차 0.54%였다가 이후 10월 4주 0.23%, 11월 2주 0.17% 등으로 축소됐다.
정부는 격주로 개최되는 장·차관급 회의와 수시로 개최되는 분과 회의를 통해 서울·수도권의 주택공급 이행상황 점검하기로 했다. 또 보완사항 검토, 쟁점 사항 조정 등 사안도 함께 관리해나갈 방침이다.
구 부총리는 “그동안 부처 간 입장이 달라 주택공급이 어려웠던 부분을 장·차관 급에서 직접 논의해 이견을 신속히 조율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오늘 서울·수도권 지역 주택공급과 관련된 주요 부처별 협조 사항을 전달하고, 도심 우수입지 등에 대한 주택공급계획 가속화 방안을 요청할 계획”이라며 “부지별로 구체적인 공급계획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실수요자들이 내 집 마련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최대한 이른 시일 내 가시적 성과를 보여드리겠다”고 했다.
김윤덕 국토부 장관은 “시장 과열 양상이 다소 둔화하고 있으나, 과거 침체기의 부동산 규제 완화와 부동산 시장으로의 유동성 유입 등 수요자 측 압력이 존재한다”면서 “2022년 이후 고금리, 공사비 상승, PF 부실화 등으로 인해 공급기반이 약화해 있어 아직 방심하기 이른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도권에 5년간 135만호 공급을 위한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충남도가 인공지능(AI) 대전환을 선도하기 위한 대장정에 나섰다.
도는 11일 단국대 천안캠퍼스에서 ‘충남 AI 대전환’을 공식 선언하고, 이를 추진할 ‘충남 AI특별위원회’ 출범식을 열었다.
AI특위는 이날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갔으며, 기업 14명과 대학 12명, 연구기관 6명 등 총 32명으로 구성됐다. 위원에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 임원과 KAIST·연세대 교수, 국방과학연구소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연구진 등이 참여했다.
특위는 앞으로 충남 AI 대전환 전략 수립과 후속 계획에 대한 심의·자문 역할을 맡는다.
도는 또한 ‘제조공정 AI 전환 얼라이언스’를 구성해 스마트공장부터 AI 전환까지 전 과정을 총괄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 얼라이언스에는 산학연관 80여곳이 참여한다.
도는 이날 AI 기반 혁신 산업 생태계 조성과 산업 경쟁력 업그레이드 제조공정 인공지능전환(AX), 스마트 농축수산업 AX, 융복합 바이오 AX, AI 지역 도시 서비스 구축, AI 공공 혁신 등 6대 전략 과제를 제시했다.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도는 벤처펀드를 3배 이상 확대하고, 창업 공간을 50% 이상 확충한다. 또한 AI 특화 인력 1만5000명 이상을 양성할 계획이다.
제조공정 AX 분야에서는 AI 활용률 40% 달성을 목표로 AI 테스트베드 구축, 연구개발(R&D) 및 인증 지원, 반도체·모빌리티 특화 인프라 조성 등 기업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
도는 AI 비전과 구체적인 전략, 세부 사업계획 등을 AI특위를 통해 내년 초 확정할 예정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충남은 전국 수출 2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첨단 산업을 이끄는 대한민국 경제의 심장과 같은 지역”이라며 “산업화와 수출경제를 이끌었던 것처럼 이제는 인공지능을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