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내구제 서울에서 지반 침하로 이어질 수 있는 지하 공동이 436개 발견됐다. 서울시는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인 노후 하수관 정비에 나섰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장비를 이용해 시내 주요 도로와 지하 굴착공사장 인근 5370㎞ 구간을 조사한 결과 지하 공동 436개가 발견됐다. 지하 공동은 지표 하부에 생긴 공간으로, 공동이 확대되면 지반 침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올해 1∼3월 발견된 지하 공동은 한 자릿수였다. 시가 GPR 탐사를 강화한 4월엔 141개로 증가했고 5월 76개, 6월 122개, 7월 84개가 발견됐다.
시는 올해 3월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사고 이후 4월부터 지하 굴착공사장 주변과 시·자치구에서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구간에 대해 GPR 탐사를 강화했다. 사전 점검을 강화해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GPR 탐사는 지하로 내려갈수록 신호가 약해져 통상 지하 2m까지만 관측이 가능하다. 대형 싱크홀은 통상 지하 10m에서 발생한다. 시는 관측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반 침하 관측망’을 내년에 100개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지반 침하 관측망은 지하 20m에 매설된 안테나가 반경 50m 안팎의 이상 징후를 감지해 싱크홀을 탐지하는 방식이다.
시는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인 노후 하수관 정비에도 본격 착수한다. 정비가 시급한 전체 124㎞ 중 79㎞ 구간에 대해선 25개 자치구에 예산을 추가 배정해 정비를 확대한다. 해당 지역은 30년 이상 된 노후관과 과거 지반 침하 발생 지역을 정밀조사한 결과 긴급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곳이다. 정비하는 데 필요한 예산은 1860억원으로 추산됐다.
지반 침하 방지를 위한 국비 지원 제도화도 추진한다. 시 관계자는 “서울은 매해 약 150㎞의 하수관이 30년 이상 노후관으로 추가되지만 실제 정비 물량은 100㎞ 수준에 그쳐 노후관이 누적되는 실정”이라며 “국비 지원 기준을 ‘재정자립도’가 아닌 ‘노후관로 길이·지반 침하 이력 등 위험도’ 중심으로 변경해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고 말했다.
제주 해상에서 항해 중이던 고등어잡이 어선에 불이 났지만 승선원 전원이 무사히 구조됐다.
12일 서귀포해양경찰서와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 52분쯤 서귀포시 마라도 남동쪽 약 35㎞ 해상에서 부산선적 대형선망 A(129t·승선원 27명)호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A호에 타고 있던 선원 27명은 함께 조업하던 인근 선단 어선들에 의해 모두 구조됐다. 신고를 받은 해경은 헬기 1대와 경비함정 5척을 급파해 구조자들을 해경 함정으로 옮겨 태웠으며 오전 6시 28분쯤 서귀포 화순항으로 입항했다.
이 불로 40대 A씨 등 2명이 화상을 입었고 70대 B씨 등 4명이 연기를 흡입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나머지 선원 21명은 건강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경은 “항해 중 기관실에서 ‘펑’ 하는 소리가 난 직후 불길이 치솟았다”는 선원 진술을 토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서울시가 흰지팡이의 날을 기념해 오는 15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시각·신장장애인을 대상으로장애인복지콜 무료 탑승 행사를 한다고 12일 밝혔다.
세계시각장애인연합회는 시각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1980년 10월 15일에 흰지팡이의 날을 공식 제정했다. 흰지팡이는 시각장애인들이 활동하는데 쓰는 보조기구로 자립과 성취의 상징으로 통한다.
흰지팡이가 시각장애인 도보 이동의 필수 수단이라면, 장애인복지콜은 혼자서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 시각장애인들의 장거리 이동을 위한 필수 서비스다. 현재 생활지원센터가 3만여명의 중증 시각장애인과 신장장애인에게 161대의 차량으로 24시간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복지콜 무료운행 행사는 흰지팡이의 날을 기념하는 의미로 시각장애인의 자립과 사회참여 촉진 및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해당 시간 동안 시내·외 일반(편도) 콜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경유·대기·왕복·예약은 제외된다.
이용을 원하는 시각·신장장애인은 전화(1600-4477)와 모바일 복지콜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차량을 신청하면 된다. 서울시각장애인 등 생활지원센터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신규 이용자는 사전에 장애인증명서 등 관련 서류를 내면 이용 할 수 있다.
시는 이번 무료 행사를 통해 올해 새로 도입된 배차시스템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관제시스템 개선으로 과거에는 신청 지점의 5km 기준 내 차량을 무작위 배치했으나 지금은 이용자 신청순서에 따라 신청 지점의 근거리순(1.5Km→3.5Km→5Km)으로 배차가 이루어진다. 또 복지콜 앱에서 3분 단위로 배차된 차량의 이동 동선을 표기해 사용자가 무작정 기다려야하는 불편함도 개선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흰지팡이날을 기념해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행사도 열린다. 생활지원센터는 오는 17일 오후 2시 동작문화복지센터에서 ‘복지콜 함께 만드는 이동권’이라는 주제로 정책반영 간담회를, 다음달 3일에는 효창운동장에서 ‘서울시각장애인 재활복지대회’를 진행한다.
조은령 서울시 장애인자립지원과장은 “이동권은 장애와 상관없이 누구나 누려야 할 보편적 권리로 시각장애인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