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차장검사출신변호사 상품이 되어버린 우리들의 집, 값에 대하여조시 라이언-콜린스 지음 | 윤영호 옮김 | 사이 | 244쪽 | 1만8500원
18일 KB주택가격동향조사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의 중위가격은 2015년 8월 5억1017만원에서 2025년 8월 10억4000만원으로 10년 만에 2배가량 상승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 매매 평균가격은 5억1213만원에서 14억2224만원으로 3배 가까이 상승했다.
집값이 치솟은 건 서울만이 아니다. <상품이 되어버린 우리들의 집, 값에 대하여>에 따르면 런던,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시드니, 밴쿠버 등과 같은 대도시들에서 중위 주택 가격은 중위소득보다 무려 7배 이상 치솟았다. 보통은 3배 정도까지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보는데 이를 훨씬 넘어선 것이다.
이토록 집값이 급등한 이유는 무엇일까. 영국의 주택시장 전문 경제학자인 저자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최근까지 주요 선진국들의 집값 변동 추이를 통해 집이 전 세계 투자자들이 눈독을 들이는 하나의 ‘투자 상품’이 된 과정을 살펴보고 집값 폭등의 원인을 추적한다.
저자는 경제성장기 이후 토지 소유주에게 돌아가는 횡재이익을 방치한 것과 금융규제 완화로 인한 주택담보대출 증가가 21세기 전 세계 집값 상승을 초래했다고 지적한다. 지난 20년간 금융기관들이 주택담보대출을 늘리면서 부동산 가격 상승과 대출금 증가의 반복 순환 구조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주택 공급을 늘리면 집값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믿음도 반박한다. 전 세계 주택시장은 중앙은행의 양적완화와 자본의 국제화, 정부의 주택 구매 독려, 글로벌 투자자들의 로컬 부동산 시장 습격 등 복잡한 현상으로 얽혀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금융규제를 포함한 공공정책 전반에 걸친 과감하고 근본적인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주택을 자산 증식의 수단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모든 사람이 안전하고 저렴한 주택을 누리는 것이 마땅한 권리가 되어야 한다고 말이다.
세계적인 스테인드 글라스 거장이자 빛의 예술가로 불리는 김인중 신부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은 오는 27일부터 김인중 신부의 다양한 회화를 감상할 수 있는 ‘Light for Life’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전시회에서는 스테인드 글라스 뿐 아니라 평면회화, 세라믹과 유리공예를 활용한 작품 60여점을 만날 수 있다.
유럽에서 샤갈, 마티스와 함께 세계 10대 스테인드 글라스 작가로 꼽힐만큼 높은 명성을 얻고 있는 김 신부는 프랑스에서 50년 가까이 작품활동을 하며 유럽 50여개 성당의 스테인드 글라스를 제작했고 노트르담 대성당 등 세계에서 200회가 넘는 전시회를 열었다. 프랑스 앙베르에는 김인중 미술관도 설립되어 있다.
김 신부는 서울대 회화과를 졸업한 뒤 스위스 프리부르대학으로 유학했고 이후 프랑스 도미니코 수도회를 통해 사제의 길로 들어섰다. 프랑스에 머물며 앙굴렘 세례자요한 성당을 시작으로 스테인드 글라스 작품을 만들기 시작한 김 신부는 1998년 에브리성당 등 현지에서 스테인드 글라스 작품을 설치하며 유럽의 이목을 끌기 시작했다.
2010년 프랑스 정부의 문화예술훈장 오피시에를 받았고 2016년에는 동양인으로서는 최초로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 선정됐다. 400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프랑스 지식인 최고의 영예로 꼽힌다.
그의 작품 제작방식은 색유리 조각을 이어붙이는 기존 방식이 아니라 판유리에 직접 그림을 그려 구워내는 기법을 쓴다. 이 덕분에 스테인드 글라스의 색채와 빛은 그대로 살리면서 수묵화처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술적으로는 전통과 현대를 융합하고 화면 안에는 동양의 여백과 서양의 색채가 조화를 이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시회는 12월21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