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사이트 수천억원대 분식회계와 채용 비리 의혹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하성용 전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표에게 징역형 집행유예가 확정됐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3부(주심 이숙연 대법관)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 등 혐의로 기소된 하 전 대표에 대한 상고심에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한 원심을 지난달 23일 확정했다.하 전 대표는 KAI 대표이사로 있던 2013년 5월~2017년 7월 사업 진행률 조작 등을 통한 5000억원대 분식회계, 회삿돈 횡령, 채용비리 등 각종 경영비리 의혹 전반에 개입한 혐의로 2017년 10월 기소됐다. 신입사원 채용 과정에서 탈락한 지원자 15명에 대해 청탁을 받고 부당하게 KAI에 취업시킨 혐의도 받는다.앞서 1심 재판부는 핵심 혐의였던 분식회계에 대해서는 무죄로 판단해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2013~2017년 회삿돈으로 산 1억8000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혐의...
“딥시크의 등장은 인공지능(AI) 시장의 성숙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진화의 형태다.”정보기술(IT) 분야 시장조사·컨설팅 업체 가트너의 존 바버 부사장은 지난 19일 서울 강남구 가트너코리아 사무실에서 진행한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그는 “기술 시장에서는 기존 기업들이 주도하던 흐름을 ‘파괴적 혁신’을 통해 바꾸는 신생 기업이 등장해왔다”고 말했다. 2000년대 후반 애플이 아이폰을 출시해 노키아가 지배하던 휴대폰 시장의 판도를 바꾼 사례를 예로 들었다.기존에는 미국 기술기업들이 막대한 자본을 투입해 거대언어모델(LLM)을 개발하며 AI 시장을 주도해왔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는 제한된 자원으로 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해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바버 부사장은 AI 모델이 초기 성장 단계를 지나 성숙해지는 과정에서 딥시크처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등장한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봤다. 딥시크가 장기적으로 AI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