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탐정사무소 농경문화 시대의 선조들은 일상적으로 나무를 심었다. 언 땅에 봄볕 스미면 한 해 농사를 채비하며 마을 앞 들녘에, 자식을 낳으면 뒤란에, 부모가 돌아가시면 묘지 앞에 나무를 심었다. 굳이 기록으로 남길 특별한 일이 아니었다. 오래된 나무의 식재 기록을 찾기 어려운 이유다.<괴정기(槐亭記)>라는 기록으로 나무를 심어 키운 과정을 또렷이 남긴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는 그래서 남다른 나무라 할 수 있다. 개항기에 활동했던 이 마을 선조 안종창(安鍾彰·1865~1918)이 남긴 기록이다.천연기념물인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는 광주 안씨의 22대조 안여거(安汝居·생몰연대 미상)가 성균관 훈도를 지낸 뒤에 이 마을에 보금자리를 일으키며 손수 심은 걸로 전해진다. 이 회화나무를 안종창은 ‘괴정’이라고 하고 그 기록을 남겼다.“마을 앞에는 북서쪽 위에 회화나무 한 그루가 있다”로 시작하는 <괴정기>에서 안종창은 이 나무를 “줄기가 수십 아름이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