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탬파베이 김하성이 10일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의 코메리카파크에서 열린 디트로이트전에서 6회 득점 후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부상 복귀 이후 세번째 경기에 나선 이날 김하성은 4타수 2안타 1타점 1득점으로 첫 멀티히트를 기록하며 팀의 역전승을 이끌었다. 탬파베이는 리그 전체 승률 1위 디트로이트를 7-3으로 꺾었다.
<디트로이트 | 로이터연합뉴스>
북한 평양 대동강에서 식사를 할 수 있는 유람용 보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북한 관련 매체가 7일 보도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인 조선신보는 “대동강에서 유람용 원형보트 봉사(서비스)가 이채를 띠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원형보트들은 “대동강의 옥류 다리와 대동강 다리를 오가며 매일 운영”된다고 조선신보는 전했다.
차양막을 씌운 보트에는 불고기를 구울 수 있는 식탁이 있다. 뱃멀미를 하는 사람들을 위해 정박장에 별도의 식사장소도 마련돼 있다. 6인승·12인승 등 2가지 종류의 보트는 손님이 직접 조종할 수 있다.
하보림 북한 육해운성 해운관리국 유람선봉사소 소장은 “손님들의 수요에 맞게 손전화기(휴대전화)로 예약 봉사도 진행”한다며 “명절날과 휴식일에는 미처 그 수요를 감당하기 힘들 정도”라고 말했다고 조선신보는 전했다.
북한은 평양을 가로지르는 대동강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2013년 4월 개업한 유람선 대동강호에 타면 대동문, 옥류관, 창전거리 등 평양의 대표적인 명소를 감상할 수 있다. 300여명을 태울 수 있는 대동강호에서는 대동강 맥주를 비롯해 북한·외국 음식을 제공한다.
앞서 지난 1일 대형 해변 리조트 단지인 강원도 원산시 갈마해안관광지구가 개장했다. 이달 중 외국인 관광객 방문도 시작된다. 개별 관광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대상이 아니다.
평양 유람시설 등의 관광은 북한 체제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로 풀이된다. 동시에 장마당(시장)에서 돈을 번 신흥 부유층인 ‘돈주’의 소비를 활성화하려는 의도로도 해석된다.
임을출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관광산업은 북한 주민이 사회주의 제도 하에서도 문명 생활을 누린다는 이른바 ‘사회주의 문명국가’를 대·내외적으로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울산지역의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 직원들이 일부 동대표로부터 갑질에 시달렸다는 주장이 나왔다. 직원들은 단체로 사직서를 제출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7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해당 아파트 엘리베이터에는 최근 ‘관리실 직원 전원 사직’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됐다. 이 글에는 “일부 동대표들의 반복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더 이상 정상적인 직무 수행이 어렵다고 판단해 부득이하게 관리실 직원 전원이 사직하게 됐다”는 내용이 담겼다.
구체적인 사직 사유로 직원들은 부당한 책임 전가와 언어폭력, 모욕적 발언, 비상식적인 업무지시 등 9가지를 꼽았다.
이 아파트 관리사무소에는 총 9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 현재 이들 모두 사직서를 제출했으며, 이달 말까지 일한 뒤 그만둘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직 의사를 밝힌 직원들은 동대표들의 각종 인격 모독과 폭언이 1년 가까이 이어져 참기 힘든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한 동대표는 직원과 민원 업무와 관련한 대화를 나누던 중 ‘밤에 잠을 재우지 말아볼까’라며 협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입주민이 보는 앞에서 발로 쓰레기통을 차며 면박을 준 사례도 있다는 게 직원들의 주장이다.
관리사무소 직원들은 국민신문고를 통해 관할 지자체인 울산 북구청과 고용노동부 등에도 민원을 넣었다.
이 같은 의혹에 대해 입주자대표회의 측은 구체적인 사실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만큼, 지자체의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대응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